반응형
숫자 데이터를 다루는 함수 중 비교적 많이 사용되는 함수
함수 | 설명 |
ROUND | 지정된 숫자의 특정 위치에서 반올림한 값을 반환 |
TRUNC | 지정된 숫자의 특정 위치에서 버림한 값을 반환 |
CEIL | 지정된 숫자보다 큰 정수 중 가장 작은 정수를 반환 |
FLOOR | 지정된 숫자보다 작은 정수 중 가장 큰 정수를 반환 |
MOD | 지정된 숫자를 나눈 나머지 값을 반환 |
특정 위치에서 반올림하는 ROUND 함수
TRUNC 함수와 함께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숫자 함수 중 하나.
특정 숫자를 반올림하되 반올림할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.
위치를 지정하지 않으면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결과가 반환된다.
ROUND([숫자(필수)], [반올림 위치(선택)]) --기본형식
반올림 위치를 지정하지 않은 ROUND와 0을 지정한 ROUND_0의 값이 같다.
(위치 지정안하면 0 (소수점 첫째 자리 반올림) 이 기본값)
특성 위치에서 | ||||
버리는 TRUNC 함수
TRUNC 함수는 지정된 자리에서 숫자를 버림 처리하는 함수이다.
버림 처리할 자릿수 지정이 가능하다.
위치를 지정하지않으면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버림 처리된다.
TRUNC([숫자(필수)], [버림위치(선택)]) --기본형식
※ TRUNC도 지정하지않았을 때 기본값이 0 (소수점 첫째 자리)이라는 걸 알 수 있다.
지정한 숫자와 가까운 정수를 찾는 CEIL, FLOOR 함수
CEIL함수와 FLOOR 함수는 각각 입력된 숫자와 가까운 큰 정수, 작은 정수를 반환하는 함수이다.
CEIL([숫자(필수)])
FLOOR([숫자(필수)]) --기본형식
CEIL(3.14) = 4 (3.14보다 큰 정수 중 가장 작은 정수)
CEIL(-3.14) = -3 (-3.14보다 큰 정수 중 가장 작은 정수)
FLOOR(3.14) = 3 (3.14보다 작은 정수 중 가장 큰 정수)
FLOOR(3.14) = -4 (-3.14보다 작 은 정수 중 가장 큰 정수)
숫자를 나눈 나머지 값을 구하는 MOD 함수
특정 숫자를 나누고 그 나머지를 출력한다.
MOD([나눗셈 될 숫자(필수)], [나눌 숫자(필수)] --기본형식
데이터의 숫자가 짝수인지 홀수 인지 구별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.
반응형
'데이터베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데이터정의어 - CREATE문 (0) | 2022.05.06 |
---|---|
오라클함수 - 날짜 함수 (0) | 2022.04.28 |
오라클 함수- 내장 함수 : 단일행 함수 (0) | 2022.04.21 |
동의어 SYNONYM (0) | 2022.04.21 |
시퀸스 (0) | 2022.04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