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💡 플로우차트(Flowchart), 순서도, 흐름도란?
플로우차트(순서도)란,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정해진 순서에 따라 기호와 도형으로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식입니다.
이는 미리 정의된 기호와 흐름선을 통해 알고리즘이나 프로그램의 논리 구조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나타내는 방법입니다.
국제표준기구(ISO)에서는 플로우차트를 그릴 때 사용하는 표준 기호를 정해두었으며,
이러한 기호를 활용하면 각 단계 간의 처리 순서와 관계를 명확하게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.
즉, 플로우차트는 마치 원고의 초안이나 건축 설계도처럼,
프로그래밍을 시작하기 전 기획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, 논리를 구성하고 소통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.
💬 플로우차트만으로도 코딩이 가능하다면, 그 플로우차트는 잘 만들어진 것입니다.
🔎 플로우차트의 장점
- 프로그램의 흐름이 단순하고 명확하게 정리되어 분석이 용이합니다.
- 논리적인 오류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어 디버깅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.
- 기호를 활용한 시각화로 인해 타인이 코드를 이해하거나 설명할 때 훨씬 수월합니다.
- 전체 로직을 한눈에 볼 수 있어, 코딩 작업의 효율성도 향상됩니다.
📏 플로우차트를 작성할 때의 기본 규칙
- 반드시 표준화된 기호를 사용해야 합니다.
- 작성 시 위에서 아래로,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르는 방향으로 구성합니다.
- 흐름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화살표(→) 를 사용하여 방향을 명확히 표시합니다.
- 흐름선은 서로 교차해도 무방하지만, 교차가 의미에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.
- 각 도형 안에는 처리할 내용을 간단명료하게 작성하고,
설명이 길어질 경우에는 주석 기호 등을 활용하여 외부에 별도 표기하는 것이 좋습니다.
🔶 플로우차트 기호의 종류와 의미
도형명칭의미
⬭ (타원) | 시작/종료 (Terminator) | 흐름의 시작 또는 종료를 나타냅니다. |
▭ (사각형) | 처리 (Process) | 작업이나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입니다. |
◇ (마름모) | 판단 (Decision) | 조건 분기를 나타내며, 참/거짓에 따라 흐름이 나뉩니다. |
⬒ (평행사변형) | 입력/출력 (Input/Output) |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입니다. |
→ (화살표) | 흐름선 (Flowline) | 처리 순서 및 흐름 방향을 나타냅니다. |
💡 참고: 위 기호들은 국제표준 ISO/IEC 5807에서 정의한 기본 도형입니다.
이 내용은 플로우차트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이나, 개발 기획 단계에서 흐름을 시각적으로 정리하려는 분들께 도움이 될 것입니다.
반응형
'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늘의 에러 22/04/15 (0) | 2022.04.15 |
---|---|
예매율구하기 (0) | 2022.04.13 |